[Network] Ethernet Analisty

Ethernet 분석


분석 목표

Ethernet에 담겨있는 이야기를 풀어 본다.

OSI 7 Layer에 대한 내용을 선행 해야함.


Ethernet?

이더넷(Ethernet)은 네트워킹의 한 방식으로 CSMA/CD혹은 토큰링(Token ring)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한다.

통신하기위한 길이 하나 있는데 이때,
CSMA/CD는 눈치 게임이고 (동시에 접근하면 충돌이 일어남), 토큰링 방식은 차례차례 사용해 겹칠일이 없는 것이다.

최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CSMA/CD방식이라고 한다.


How ethernet packet look like?

응용 계층 부터 네트워크 계층 까지 Header가 붙는 모습

위 이미지를 보면 제일 위에 있는 Layer 7 (응용 계층)부터 ~ Layer 2,3 (네트워크 계층)까지 전송을 위해 Header가 붙는 모습을 나타넨 이미지 이다.

전부다 보면서 이해하면 좋지만 하나만 집중하자면 우리가 눈여겨 볼 것은 모든 헤더가 붙은 네트워크 계층이다.

Ehternet frame

목적지 MAC Addr 근원지 MAC Addr Type    DATA    CRC
8 byte 6 byte 2 byte 4 byte

앞에 preamble 라고 해서 물리 계층에 Header가 붙지만 지금 네트워크 부분만을 보고있으므로 패스

위 표에서 보면 알다 시피 목적지 MAC과 근원지 MAC주소가 나오고 Type에 따라 뒤에 나오는 데이터를 어떤건지 설명해 주는데 링크에 종류가 나열되어있다.

다만 우리가 주로 사용할 것만을 나열하면

  • IPv4 : 0x0800
  • ARP : 0x0806

이렇게 두가지 인데 Type의 2byte가 0x0800이면 이후 뒤에 오는 내용이 IP정보가 온다는 뜻이다.

아래 이미지를 보면 Type 부분이 0x0800이고 뒤에오는 정보가 IP인것을 알 수 있다.

IPv4 헤더

다음 포스트에선 ARP에 대해서 알아보자.

글의 문제가 있다면 댓글을 달아 주세요.

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.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.